▶ 중국 전기차 시장 선두주자 BYD, 한국 상륙 임박
1.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기업 BYD, 2024년 상반기 한국 시장 진출할 예정 - 국내 전기차 판매를 위해 필요한 각종 인증을 받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, 환경부 등과 세부일정 조율 중.
2. 첫 모델은 소형~준중형 SUV '아토 3', 420km 주행 가능, 현대차 동급 모델보다 500만 원 이상 저렴
3. '아토 3' 이후 중형 세단 '씰' 및 소형 해치백 '돌핀' 순차적 투입 계획
4. 배터리부터 전기차까지 직접 생산하며 압도적인 저비용·고효율 생산 시스템 구축
5. 2023년 테슬라 제치고 세계 전기차 판매 1위 달성, 배터리 부문 세계 2위
![]() |
![]() |
![]() |
※ 순서대로 씰, 아토, 돌핀
▶ BYD 진출, 한국 전기차 시장에 미칠 영향
1. 가격 경쟁 심화: BYD의 저렴한 가격 전략, 국내 전기차 시장 가격 경쟁 심화 예상
2. 현대차 시장 점유율 위협: BYD의 공격적인 마케팅, 현대차 시장 점유율 감소 가능성
3. 중국산 자동차 이미지 변화: BYD의 성공, 중국산 자동차 '싸고 좋은 차' 이미지 확립 가능성
4. 소비자 선택 폭 확대: 다양한 가격대, 모델 선택 가능, 소비자 선택 폭 확대
5. 국내 전기차 시장 성장 촉진: BYD 진출, 국내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, 시장 성장 촉진
▶ 현대차, BYD 진출에 대한 대응 전략
1. 가격 경쟁력 강화: 생산 효율성 향상, 가격 경쟁력 강화 노력 필요
2. 혁신 기술 개발: 차별화된 혁신 기술 개발 투자 확대
3. 글로벌 시장 공략: 해외 시장 진출 확대, 글로벌 경쟁력 강화
▶ 결론
현재 전기차의 판매량이 저조한 첫 번째 이유는 가격입니다. 충전에 관련된 인프라나 충전시간 등 다른 불만들도 많지만 어쨌든 가격이 첫 번째 이유입니다. 설문조사 내용을 보면 전기차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10명 중 6명이 비싼 가격 때문이라고 응답했습니다.
국내 전기차 업계가 과연 중국전기차의 가격의 장벽을 넘을 수 있을지... 24년 말이 되면 그 결과를 알 수 있겠지요.
정말 긴장해야 될 것 같습니다.
현대차에 투자한신 분들을 위해 중국전기차관련 포스팅을 해봤습니다.
끝.
'◆ 돈 Mone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만치료제 시장, 2030년 136조 원 규모 전망, 골드만삭스가 말하는 성장 이유 (100) | 2024.02.20 |
---|---|
중국산 테슬라만 겨냥한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개편, 국내 기업에도 불똥 (6) | 2024.02.17 |
현대카드 결제일별 사용기간, 결제일 변경 방법 (0) | 2024.02.14 |
삼성카드 결제일별 이용기간, 결제일 변경 방법 (0) | 2024.02.14 |
삼성전자,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 앞당겨 로봇 사업 본격화 시동 (6) | 2024.02.09 |